본문 바로가기

가상화폐

갠의 각도론과 엘리어트 파동의 적용

728x90

갠의 각도론과 엘리엇 파동이론을 투자에 적용하면 어떤 모습일까요? 45도선인 1대 1 대응선을 중심으로 등락하면서 결국에는 중심으로 수렴하게 되는데, 각각의 소파동이 어느 방향으로 움직일지는 일정 부분 예측할 수 있게 됩니다.

 

 

 

갠의 각도론과 엘리엇 파동의 투자 적용

 

되돌림과 목표치를 계산하는데 50% (1/2)와 33.3%(1/3), 66.7%(2/3)라는 말이나.

 

피보나치수열에서 가져온 37.5%와 62.5%를 조합한 33%나 50%, 66% 수준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하게 되는데요.

 

시황을 들을 때 50% 되물림이니 33% 지지니 뭐 이런 말이 여기서 나온 거랍니다.


피보나치수열과 갠의 사각형 원리를 이용하면 지지선을 측정할 수 있는데, 전문가들이 차트에 알 수 없는 선을 그어가며 설명하는 모습을 의 기준이 되는 원리라는 거죠.

 

크게 3 등분하여서 매수와 매도시점을 잡거나, 저점과 고점을 예상해서 상승과 하락에서 동시에 사용되는데요. 실제로 지지선과 저항선이라는 이름으로 말하고, 투자자들도 수치만큼 움직인다고 믿고 있는데요.

 

 

하락과 파동 지지선 예측

 

위 그림은 허접하지만 하락과 파동에서 지지선 예측선인데, 보통 트레이딩 하는 분들이 저렇게 매수점을 잡아주죠. 물론 상승장도 마찬가지고요.

물리적인 지지와 저항이 정해진 수치만큼 움직인다는 건 거의 신의 영역이라 ㅎㅎ 심리적인 문제를 기계적으로 관리하고, 기계적인 손절매나 매수기준으로 삼아야 한다는데요. 한마디로 냉정하게 흔들리지 말란 말이겠죠.. 제일 힘든 거 ㅎ

지지선과 저항선은 가장 핵심적인 주제로 주가가 과열이냐 침체냐를 두고 매수와 매도를 고민하게 되는데요.

 

같은 가격이라도 매도와 매수신호가 될 수 있기에 투자자가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답니다.

 

 
 
 

 

최고점을 찍고 내려가 다지는 자리라면 매수가 될 수 있겠지만, 다시 횡보하며 저점이 낮아지다 잠깐 상승하는 경우라면 같은 가격이라도 매도 시점이 될 수 있는데요.

 

갠 이론은 오르는 영역을 지나 횡보하게 되면 45도선을 그릴 수 없는데요.

 

이때는 투자자들이 경험으로 가정해야 하는데, 하락할 때도 전문가의 의견을 듣게 되지만 횡보장에도 어느 정도의 상승을 예상하는지 이야기를 듣기 위해 동영상을 찾아보거나 스스로 예상하기도 하는데요.

오름과 내림의 변동폭이 클 경우에는 가상의 45도선을 그리게 되면, 상승폭도 커지고 하폭도 커지게 되는데, 주가는 횡보할수록 무조건 약해지고, 상승해도 커지고 하락해도 커지는 거라서, 매번 새로운 각도를 그려야 하기 때문에 맹점으로 작용한답니다.

갠의 기하학적 각도론은 시간이 흐를수록 계속 오르지 않는 이상은 저절로 약세로 접어들 수밖에 없는데요.

 

시간과 가격의 대응선을 인식하고 주가의 흐름에 따라 선을 그어보면 겉으로는 횡보처럼 보여도 강한 약세와 강세 압력을 받는 구간이 달라진답니다.

 

그래서 백날 차트 분석해 봐야 아무도 모른다고 운에 기대는 분도 있는데, 확률 분석을 통해 손해를 줄일 수 있다면 뭐라도 해야 된다고 생각해요.

갠 이론을 정리하면서도 역시나 알듯 모를듯하군요 ㅎㅎ

 

 

 

 

 

[알아두면 좋은 정보]


투자 기초 갠의 각도론

 

투자 기초 갠의 각도론

갠의 각도론은 기술적 분석에서 유명한 이론으로 시장에는 추세가 존재하고 있으며, 투자자는 그 추세를 중심으로 움직인다고 생각한 갠의 이론입니다. 갠의 각도록 기본 개념 갠의 각도론은

gamja1469.tistory.com

엘리어트 파동의 활용 채널기법과 연장파

 

엘리어트 파동의 활용 채널기법과 연장파

엘리엇 파동의 활용으로 널리 쓰이는 채널 기법과 연장파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기술적 분석에서 이용하는 평행 추세대는 아래쪽의 추세선과 평행하게 위쪽의 추세선이 계속하여 움직인다는

gamja1469.tistory.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