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상화폐

갠의 각도론 6가지 패턴 분석 방법

728x90

오늘은 각도론을 이용해서 주가의 패턴을 분석하는 6가지 법칙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제가 정리하는 부분은 시골의사의 주식 분석 편으로 2권에 해당하는 내용을 보고 공부 중인데 같이 공부해 보아요~

 

 

 

 

갠의 각도론 6가지 패턴 분석 방법

 

기술적 분석은 워낙 다양하게 있고, 요동치는 시장에서 뭐가 맞다고 정의 내리기 어려워서 저도 정의를 내린다는 게 감히 주제넘고, 배우는 와중에도 많이 혼란스럽습니다만, 그래도 이제 전문가가 하는 말이 이런 의미구나 라는 정도는 감이 잡히는 것 같습니다.

 

첫 번째는 추세는 예각으로 진행된답니다. 예각은 90도보다 작은 각이죠. 둔각은 9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은 각인 데요. 둔각으로 전환되는 추세반전은 반전이 아니란 말이죠.

두 번째는 같은 파동을 형성하는 추세는 상승각도도 같답니다. 무질서하게 보이지만 가속도가 붙으면 일정한 추세를 보이는데요. 다른 형태의 파동이더라도, 본인이 인지한 파동이 유지될 것인지 알아보려면, 상승 시에는 상승추세를 하락 시에는 하락 추세의 각도를 살피면 된답니다.

세 번째는 하나의 추세 파동에서 각도가 달라지면 파동이 끝난답니다. 본인이 보고 있는 파동이 추세의 마지막이라는 사실을 기억하라는 말인데요. 각도가 달라지면 변화를 내포하고 있다는 걸 잊지 말아야겠죠.

 

 



네 번째는 예각과 둔각 조정의 에너지는 같답니다. 주가가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것은 가격이 아니라 시간에 지배받고 있는 사실을 파악하고 1:1선을 벗어나 반등을 시도하면 저항받지만, 진폭이 커지면서 큰 폭의 상승도 가능할 수 있는데요. 결과적으로 시간이나 가격 둘 중 하나를 조정해서 1:1 대응선을 중심으로 움직이게 된답니다.

다섯 번째는 1:1 대응선은 매도와 매수의 기준이 될 수 없답니다. 책에서는 1:1 대응선에서 파생된 지점을 잡아야 한다고 해요. 1:1선은 경우의 수이고, 적정한 지점이기 때문에 시세가 벌어질 수 있으니까 편차를 갖고 이익을 내는 거라서 대응의 기준으로 삼아야 한답니다.

여섯째는 5 파동은 약세 구간에서 반등으로 마무리된답니다. 3 파동이 강력하면 1:1 대응선과 멀어질 수 있는데 가격조정이 이어지면 깊이가 깊어지고 반등인 5 파동은 1:1 대응선을 넘지 못하고 중심 추세 아래서 시세를 마무리하게 될 수 있는데요. 각도론은 시세를 바라보는 또 하나의 창이라는 거.

나만의 약속을 가진 추세선을 선택하는 게 좋다고 여러 가지 부연설명을 들어 설명하고 있는데요. 역시나 알듯 말듯하지만, 투자는 개인만의 철학까진 아니더라고 원칙은 세우고 접근해야 한다는 걸 이론을 공부하면서 느끼고 있습니다.

 

이론은 이론일 뿐, 실전과 조화가 필요하고 그건 사람의 마음과 냉철한 판단력에서 결정할 부분이니까요. 오늘은 여기까지 하고 다음 편부터는 보조지표 분석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알아두면 좋은 정보]


 

 

갠의 각도론과 엘리어트 파동의 적용

갠의 각도론과 엘리엇 파동이론을 투자에 적용하면 어떤 모습일까요? 45도선인 1대 1 대응선을 중심으로 등락하면서 결국에는 중심으로 수렴하게 되는데, 각각의 소파동이 어느 방향으로 움직일

gamja1469.tistory.com

 

 

엘리어트 하락 파동 이론

엘리엇 이론은 투자에서 많이 사용하는 이론 중 하나로 공부를 하는 것부터가 도움이 많이 됩니다. 전편에 이어 오늘은 하락 파동이론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엘리엇 하락 파동 이론 A 파동은 5

gamja1469.tistory.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