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2023년과 2024년 중위소득 확인방법

728x90

중위소득은 대한민국 국민 가구 소득의 중윗값으로 최저 생활 보장과 자활을 돕는 국민기초 생활보장의 급여 기준을 정하는 중요한 지표로 각종 정부 정책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합니다.

 

1년마다 공표하는 기준 중위 소득은 나라에서 운영하는 e-나라지표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요. 2023년 기준 중위소득은 4인가구 기준 5.47% 인상되었습니다.

 

 

 

2023년 중위소득 확인

 

 

 

2023년과 2024년 중위소득 확인방법

 

e- 나라지표에서 공개하는 2023년과 2024년 중위소득을 가구에 따라 원단위로 월단위 소득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가구수 2023년 2024년
1인 2,077,892 2,228,445
2인 3,456,155 3,682,609
3인 4,434,816 4,714,657
4인 5,400,964 5,729,913
5인 6,330,688 6,695,735
6인 7,227,981 7,618,369

 

 

중위소득은 중간 소득으로 본인의 가구수와 소득을 대입하여 비슷하면 중간정도 버는구나 생각할 수 있는데요. 단순히 생각만 하라고 정한 것은 아니고 각종 정책의 기준으로 적용됩니다.

 

생계급여 30%, 의료급여 40%, 주거급여 47%, 교육급여 50%이며 정책에 따라 100%가 넘는 것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생계급여는 기준 중위소득의 30% 일 경우 받을 수 있는데, 4인 가구를 기준으로 5,400,964*30%= 1,620,289원으로 기준에 해당하면 생계급여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국민취업지원제도의 I유형 신청자격 중 19세~34세 청년은 중위소득 120% 이하인데요. 4인 가족으로 계산하면 5,400,964*120%=6,481,156원이 나옵니다. 해당 금액 이하의 중위소득은 신청할 수 있다는 의미지요.

 

 

 

2023년 기초생활수급자 가구별 기준 중위 소득표

 

2023년 생계급여와 의료급여, 주거급여와 교육급여에 해당하는 기준 중위소득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은데요. 월단위 원 기준입니다.

 

 

2023년 기초생활수급자 가구별 기준중위소득표
2023년 기초생활수급자 가구별 기준 중위소득표

 

 

 

나의 소득이 어느 정도 수준인지 확인하는 방법은 국민건강 홈페이지 메인 방문자별 맞춤 메뉴에 있는 보험료/조회 납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요.

 

 

인증서로 로그인을 마치면 그동안 낸 보험료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직장인은 별다른 부업이 없는 한 월수입이 일정하기 때문에 쉽게 중위 소득에 해당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보험료 조회 납부 바로가기

 

 

 

 

[같이보면 좋은정보]


소액생계비 대출 100만 원 신청 대상과 금리 인하 방법

 

소액생계비 대출 100만원 신청 대상과 금리 인하 방법

은행과 대부업 이용이 어려운 고객이 불법 사금융의 피해를 입지 않게 도울 수 있는 소액 생계비 대출 100만 원 신청 대상과 방법은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예약할 수 있습니다. 소액생계비대출 바

gamja1469.tistory.com

 

건강보험료 미환급금 자격조건과 신청방법

 

건강보험료 미환급금 자격조건과 신청방법

건강보험료 미환급금은 이미 납부된 보험료에서 이중으로 납부했거나 감액 조정 혹은 오납부로 인해서 내야 할 보험료 보다 많이 납부했을 경우 환급받을 수 있는 숨은 돈입니다. 더 건강보험

gamja1469.tistory.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