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상화폐

투자 기초 파동이론 (찰스 다우, 엘리어트)

728x90

투자를 하면서 다양한 이론을 접하는데, 대표적인 기술적 분석방법의 하나인 파동이론은 미래를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과거를 설명하는데 좋은 이론으로 시장의 속성을 이해하는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투자 기초 찰스 다우 파동 이론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이론이 있다 해도 미래에 도달하지 않으면 알 수 없으니까, 이론이나 차트분석 이 딴 거 필요 없이, 운빨이라고 생각하는 분도 있습니다. 틀린 말은 아니지만, 뭘 알아야 운도 기대할 수 있죠.

 

찰스 다우의 파동이론은 주추세를 만들어가는 중간 에너지의 합의 파동으로, 주추 세는 15~30년간 긴 주기들의 주가가 움직이는 것을 말합니다. 

 

주추세 안에서 만들어지는 작은 추세를 파동으로 하고, 그 파동 안에 만들어지는 작은 물결은 잔 물결이라 부르는데요. 상승과 하락이 반복되는 경계 흐름 속에서 파동이 존재하고 그 안에 잔물결이 들어있다는 이론입니다.

 

 

 

 

파동 이론을 확장시킨 엘리엇 이론

 

파동 확장시킨 이론이 엘리엇 파동이론입니다.

 

5개의 상승파와 3개의 하락파로 구성되어 있는데, 5개의 상승 파동은 첫 번째 상승하는 파동을 1 파동이라 하고, 반등하는 경우에 조정 눌림목이 오는 파동을 2 파동, 본격적인 상승이 오는 것을 3 파동, 다시 조정받는 파동을 4 파동, 마지막 최후의 상승파동을 5 파동이라 부릅니다.

반대로 주가가 떨어질 때는 3개의 파동으로 첫 번째 하락의 시작점을 A 파동, 다음 반등을 B파동, 본격적인 하락을 C파동이라고 합니다.

상승 파는 숫자로 이루어져 있어서 숫자 파동, 하락 파는 문자라서 문자 파동이라고 부르는데, 피보나치의 영향으로 완성된 파동이론입니다. 피보나치도 많이 들어보셨을 텐데요. 이탈리아 수학자랍니다.

1,1,2,3,5,8,13,21,34,55,89,144,233,377,610... 는

1+1=2, 2+3=5,3+5=8, 5+8=13, 8+13=21... 이런 식으로 나열되는 숫자인데요.

맨 앞의 몇 개를 제외하고 앞의 수를 뒤의 수로 나누었을 때, 값이 모두 0.618이 되고 (55/89) 반대로 뒤의 수를 앞의 수로 나누면 1.618이 되고 (89/55), 앞의 수를 두 칸 뒤로 나누면 0.382가 되고(89/233), 반대로 뒤의 수를 두 칸 앞으로 나누면, 2.618(233/89)이 된다는 식입니다. 계산기 두드리면 그렇게 나와요.

엘리엇 파동은 0.618과 1.618, 0.382와 2.618의 네 가지 질서를 찾아서 피보나치 비율이 조정되는 시기에 주식시장에 변동이 일어난다는 주장인데요.

 

엘리엇 파동과 대입해서 3 파동이 1 파동에 1.618배에서 최대 2.618배의 상승폭을 보이고, C 파동이 A 파동의 1.618배에서 2.618배의 하락폭을 보입니다. 상승과 하락에서 1.618배가 적용된다고 예측할 수 있고, 그렇다면 다음 목표치는 2.618배가 된다는 이론입니다. 

 

 

 

[함께 보면 좋은 정보]


 

기술적 분석 볼린저 밴드 보는 방법

기술적 분석은 과거의 주가와 거래량을 분석하여 미래의 가격을 예측하는 방법이며 기본적 분석은 해당 주식의 내재가치를 분석하여 미래의 주식 가격을 예측하는 방법입니다. 기술적 분석 볼

gamja1469.tistory.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