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적 분석은 과거의 주가와 거래량을 분석하여 미래의 가격을 예측하는 방법이며 기본적 분석은 해당 주식의 내재가치를 분석하여 미래의 주식 가격을 예측하는 방법입니다.
기술적 분석 볼린저 밴드 보는 방법
기술적 분석으로 널리 활용되는 볼린저 밴드는 페리 코프먼이 고안한 개념으로 존 볼린저가 완성시켰답니다.
표준편차의 개념을 주가에 대입해서 편차 내 가격이 존재할 확률을 매매 판정에 이용하는 방식인데, 여기서 표준편차는 자료가 많을 때 대표하는 값입니다.
예를 들면, 한 반에 남학생의 키가 160부터 190까지 다양하더라도 평균을 내면, 작은 키나 큰 키가 아니라 중간값에서 평균이 나타는 것과 같은 이치로, 표준편차가 0에 가까우면 자료 값이 평균 근처에 있는 것이고. 표준편차가 클수록 자료 값이 널리 퍼진 상태를 의미합니다.
볼린저 밴드는 상한선과 하한선, 중심선으로 구분되어 있는데요.
표준편차의 값이 작으면, 이동 평균값을 정하는 기간의 주가가 이동평균선을 중심으로 밀집되어 가격 변동이 덜했다는 뜻이고, 표준편차 값이 크다는 말은 해당 기간의 주가 변동성이 커졌다는 의미랍니다.
주가를 통해 산출한 표준편차를 기준으로 어느 정도의 변동성 범위에서 매도와 매수를 맞추느냐가 볼린저 밴드의 핵심이론인데요. 밴드를 활용하는 값은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답니다. 그래서 절대적으로 어떤 조건이 맞다고 설정할 수는 없겠죠.
볼린저 밴드를 통한 매수 매도 방법
볼린저 밴드는 주가가 오르면, 최소 이동평균값에서 주가가 반영되어 이동 평균선이 움직이면서 밴드의 위치가 달라지거나, 변동성의 크기에 따라 실시간으로 넓이가 달라집니다.
가격과 변동성의 두 조건에 맞춰 매도와 매수를 선택할 수 있는데, 하한선에서 사고, 상한선에서 파는 걸 걸어놓는 방법이 대표적인 것 같아요.
그런데. 여기서 평균이 이동하는 것은, 해당 기간의 수익 이동을 나타내는 것으로 변동성이 커진다고 해서, 반드시 수익이 커지는 것이 아니라 이익과 손실의 가능성을 가늠할 수 있는 용도로 활용해야 하는데요.
변동성에는 여러분도 아시겠지만, 실적에 대한 기대나 실망,. 재무리스크, 유동성 리스크와 심리적 요인 등이 작용합니다.
볼린저 밴드는 주가가 낮은 변동성을 보이며 긴 시간을 횡보하면 폭이 좁아지고, 변동성이 큰 상태라면 폭이 넓어지는데요.
그래서 주가가 폭발적인 에너지를 분출하는 순간을 응축된 에너지를 감안하여 기준을 세워줄 수 있답니다.
볼린저 밴드는 주가 상승이 가파를수록 밴드가 확대되기 때문에 밴드 내로 돌아오는 순간이 빠르고, 과거의 궤적을 누적적으로 반영하는 특징을 가졌기 때문에 기술적 분석가들이 가장 신뢰하는 도구랍니다.
여전히 정리하면서도 뭔 말인지 이해가 어렵지만, 하락과 상승을 밴드로 나타냈으니 매도와 매수를 편하게 도와줄 수 있다? 정도로만 생각해야지 절대적이지 않다는 말로 이해했는데요.
투자에 절대적인 게 있다면, 이런 다양한 기법들이나 이론이 나오지 않았겠죠. 오늘은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정보]
시장에 민감한 모멘텀 투자 심리
모멘텀(momentum)은 물질의 운동량이나 가속도를 의미하는 물리적 용어로 주식투자에서는 주가 추세의 가속도를 측정하여 주가의 변동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투자에 어떤 식으로 활
gamja1469.tistory.com
레버리지와 인버스 ETF 투자 용어 정리
거래소에 상장시켜 펀드처럼 골고루 선택하고, 주식처럼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는 ETF는 공부할게 많은데요. 오늘은 레버리지와 인버스 ETF를 공부하겠습니다. 레버리지 (Leverage) ETF 투자 방식 레
gamja1469.tistory.com
'가상화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엘리어트 상승 파동을 적용한 투자공부 (0) | 2020.12.17 |
---|---|
투자 기초 파동이론 (찰스 다우, 엘리어트) (0) | 2020.12.16 |
시장에 민감한 모멘텀 투자 심리 (0) | 2020.12.14 |
주식 코인 기초 이동평균선 정리 (0) | 2020.12.08 |
ETF 사전교육이수 기본예탁금제도 신청방법 (0) | 2020.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