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상화폐

엘리어트 상승 파동을 적용한 투자공부

728x90

엘리엇 파동 이론은 숫자 파동으로 불리는 상승 파동과 문자 파동으로 불리는 하락 파동이 있습니다. 오늘은 상승 파동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엘리어트 상승 파동


엘리엇 파동은 5개의 파동으로, 1 파동은 시작점이기 때문에 실제로 찾기 어렵고, 2 파동은 1 파동의 저점으로 내려가지 않는답니다.

 

3 파동은 1 파동 크기의 1.618배로 2.618배까지 나타나 전체 파동 중에서 가장 큰 상승을 이룹니다.

 

3 파동은 2 파동이 고점을 넘어서는 순간 매수하면 안전하게 투자할 수 있다고 보는데, 고점매수, 돌파 매수, 신고가 매수라는 지점을 의미합니다.

 

강력한 추세와 많은 거래량을 동반하며, 대부분의 투자자들이 상승세를 인식하게 된답니다. 

저항선이라는 지점을 돌파하는 시세를 관찰할 수 있는데, 바닥 파동은 1점 바닥과 직전 하락이 완만하여 1 파동 후 깊은 조정을 보이고 반등하는 경우는 2중 바닥이라 부릅니다.

 

정상적인 하락으로 반등도 같은 형태를 보이는 역 헤드 앤 숄더는 3중 바닥이 있습니다.

 

천장 파동의 형태로는 강력한 제3파동이 단기간 급등할 경우 2중 천장과 정상적인 시간과 상승폭을 보인 경우로 헤드 앤 숄더 형태를 취하는 3중 천장과 완만한 상승 후 제5파동이 급격하게 전개하는 1점 천장이 있답니다.

 

쉽게 생각해서 내릴거나 오를 때 확 내리거나 오르는 모양에 따라 바닥과 천장이 달라지는 모양이죠.

 

 

 



제4파동은 2 파동과 다른 모양을 보이는데, 2 파동이 플랫 조정이면 4 파동은 지그 재인 식으로 파동 교대의 법칙을 알 수 있는 파동이랍니다.

 

제4 파동은 5 파동에 영향을 미치며, 4 파동의 형태로는 3 파동의 반등 추세가 적절한 시간 동안 가격상을 보일 때 나타나는 순환형 상승과 반등 추세가 가파르고 강력해서 생기는 경우도 있답니다.

 

엘리어트 파동의 4 파동은 절대 1 파동의 고점을 훼손하지 않고, 3 파동의 급격한 상승으로 급락이 발생해도 1 파동 이하의 고점으로 급락하지 않아서 쌍봉이 나타날 수 있는데요.

엘리어트 파동의 3 파동 이후 횡보가 오래되면 5 파동 상승에서 이익을 볼 수 있으며, 주가의 파동은 실제 파동이 소모하는 시간에 따라 달라진답니다.

5 파동은 강력한 분출 형태를 띨 수 있는데, 극단적으로 낙관적이 될 수 있어 주식을 털어낼 시기를 가늠해야 한답니다. 5 파동은 3 파동의 고점 부근에서 고점을 형성하거나 조금 넘어서 끝나지만 호재를 만나면 분출하는 시세를 만들어내는데요.

5 파동에서는 쇄기형 파동이 나다는데, 상승기조나 횡보, 플랫 형태로 조정 후 상승 과정으로 혼동할 수 있으며, 마지막 불꽃처럼 급락하다 반등하는 속임수를 트랩이라 하고, 시세가 급등하여 분출하는 듯 보이지만 시세의 종료 선언인 경우를 투자자를 속인다고 해서 페일이라고 한답니다.

 

 

[함께 보면 좋은 정보]


 

 

투자 기초 파동이론 (찰스 다우, 엘리어트)

투자를 하면서 다양한 이론을 접하는데, 대표적인 기술적 분석방법의 하나인 파동이론은 미래를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과거를 설명하는데 좋은 이론으로 시장의 속성을 이해하는 도구로 활용

gamja1469.tistory.com

 

 

시장에 민감한 모멘텀 투자 심리

모멘텀(momentum)은 물질의 운동량이나 가속도를 의미하는 물리적 용어로 주식투자에서는 주가 추세의 가속도를 측정하여 주가의 변동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투자에 어떤 식으로 활

gamja1469.tistory.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