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K-패스 2024년 5월 시작 대중 교통비 줄이는 방법

728x90

차량 혼잡이나 환경 문제, 자원 고갈 등 급한 일이 아니면 도시에서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분이 많은데요. 현재는 알뜰 교통카드로 자전거나 도보 시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마일리지 환급 제도가 있습니다.

 

출퇴근 도착 기록이 필요한 기존 알뜰 교통카드는 평일 바쁜 출퇴근길에 번거로운 일인데요. 불편한 점을 개선하고 혜택을 더 높인 K- 패스가 2024년 5월부터 시작됩니다.

 

2024년 7월에 시행 예정을 두 달 앞당겨 5월부터 도입되는 K-패스는 대중교통비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제도로 월 15회 이상 지하철과 시내버스를 정기적으로 이용하는 분에게 반가운 소식인데요.

 

 

 

 

K-패스 혜택과 가능 지역

K-패스는 월 15회 이상 시내버스와 지하철 같은 대중교통 이용 시에 지출 금액의 일정비율을 다음 달에 돌려받을 수 있는 교통카드입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알뜰교통카드처럼 이동거리 제한 없이 지출 금액의 일정 비율을 환급받는 방식이라 출발과 도착 기록이 필요 없습니다.

 

일반인 20%, 청년층 30%, 저소득층 53% 비율로 돌려받는데요.

 

보통 직장인의 경우 주 5일 근무, 한 달 20일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7만 원을 쓴다면, 일반인은 14,000원, 청년 21,000원, 저소득층 37,000원을 줄일 수 있는데요.

 

1년이면 일반인 168,000원 청년 252,000원, 저소득층 444,000원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K-패스 참여지역

 
참여지역(신규 포함)


미참여지역


수도권

서울, 경기, 인천 전체  
충청권 대전, 세종,충남 전체

충북[청주,옥천,제천,충주,음성, 진천, 보은,영동,증평,괴산, 단양]

 
전라권 전북[전주,익산, 남원,완주,군산,정읍]

전남[순천, 무안, 신안,여수,목포,해남,광양,담양,나주, 장성]
전북[김제,고창,부안,진안,무주,장수,순창,임실]

전남[고흥,화순,영암,영광,곡성,구례,보성,장흥, 강진,함평, 완도,진도]
경상권 부산 전체
대구 전체
울산 전체
경남 전체

경북[ 포항,영주,경주,김천, 영천, 구미,상주,칠곡,경산, 안동]

경북[문경, 예천, 의성, 청송, 영양, 영덕, 청도, 고령, 성주, 봉화, 울진, 울릉]
기타 강원 [춘천, 강릉, 원주, 홍천, 양양, 동해, 삼척, 태백, 횡성, 영월]

제주도[제주, 서귀포]
강원[속초, 평창, 정선, 철원,화천,양구, 인제, 고성]

 

 

 

K-패스 신청방법

 

K-패스 신청방법은 2024년 2월부터 알뜰 교통카드 앱으로 이용약관 및 회원 전환 절차 등이 진행될 예정인데요.

 

기존에 알뜰 교통카드를 사용 중인 이용자라면 K-패스 회원 전환 절차를 거쳐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요.

 

신규 가입자는 2024년 5월부터 K-패스 공식 누리집 (korea-pass.kr), 앱 또는 11개 카드사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하나, 우리, 현대, 신한, 삼성, BC, KB국민, 티머니, NH농협, 이동의 즐거움, DGB유페이>

 

월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분이라면 눈여겨볼 정보인데요.

 

GTX-A노선도 적용될 예정으로, 알뜰 교통카드를 사용하시다가 5월에 전환하여 사용하거나, 신규 신청 후 교통비 혜택을 받아가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24년 4월 24일부터 발급할 수 있습니다 (24.04.21수정)

 

 

K패스 관련 보도자료

240118(조간) 5월부터 K-패스로 대중교통비 20~53퍼센트까지 돌려받는다(광역교통경제과).pdf
0.51MB

 

 

 

[같이 보면 좋은 정보]


알뜰 교통카드 플러스 신청방법

 

알뜰 교통카드 플러스 신청방법

알뜰 교통교통카드는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이동 거리만큼 마일리지를 지급하고 민간 카드 이용 시 약 10%의 추가 할인을 받을 수 있어서 신청 방법을 정리해보았습니다. 대중교통비 절감과 대

gamja1469.tistory.com

국민연금 납부 예외 ·유예 신청방법

 

국민연금 납부 예외 ·유예 신청방법

국민연금은 지역가입자와 직장 가입자로 구분할 수 있는데요. 직장 가입자는 매달 급여 신고분에 따라 사업주와 본인이 반반씩 부담합니다. 지역가입자는 직장 가입자 및 그 사람에게 해당되는

gamja1469.tistory.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