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에서는 최저소득계층과 저소득 서민 외에도 청년과 장애인 국가 유공자 등 사회 취약계층의 주거안정을 목적으로 공공임대 주택의 입주자를 모집합니다.
LH에서 주택을 매입하고 19세~39세의 대학생 및 취업 준비생 위해 시세보다 40~50% 수준으로 임대하는 청년 매입임대 주택을 알아볼 텐데요.
어디서 신청할 수 있는지, 내가 사는 곳에 모집하고 있는지 자격 조건이 맞는지 등등 을 알아보기 전에 홈페이지에서 더 많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LH 청년매입 임대주택 입주조건
LH 청약 플러스 홈페이지에서 임대주택 메뉴를 누른 다음 왼쪽 메뉴바 임대 가이드에서 매입임대를 누르면 첫 번째 가운데 청년 매입임대를 통해 자세히 알아볼 수 있는데요.
LH 청년 매입임대는 공고일 기준으로 혼인 중이 아닌 무주택자로 대학생, 취업준비생, 19세 이상 39세 이하인 자로 1순위부터 3순위로 구분됩니다.
입 주 자 격 |
|
1순위 | 1. 생계, 의료, 주거급여수급자 가구 2. 지원대상 한부모가족 3. 차상위계층 |
2순위 | 본인+부모 월평균소득 100%이하자 국민임대자산기준 (36,100원, 자동차 3,683만원)충족 |
3순위 | 본인 월평균소득 100%이하자 행복주택 청년자산기준 (29,900만원, 자동차 3,683만원)충족 |
LH에서 모집 공고를 내면 LH청약센터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고 신청할 수 있는 모집 공고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청년매입임대주택 신청방법
LH 청년매입임대주택 신청방법은 마찬가지로 LH청약 플러스 사이트에서 임대주택을 누르고 왼쪽 메뉴바 상단에 있는 임대주택에서 공고문을 누르면 됩니다.
공고문에서 유형을 매입임대로 선택하고 입주자격을 청년으로 한 뒤에 지역에서 본인이 원하는 혹은 거주하는 지역을 선택한 뒤에 상태에서 공고 중 접수 중 접수마감 정정 공고 중 중 원하는 것을 누릅니다.
공고명을 안다면 직접 입력하거나 해당 기간에 공고된 날짜만 검색하고 싶으면 기간을 선택해도 됩니다. 본인에게 해당되는 공고가 접수 중이라면 신청할 수 있는데요.
처음이라면 접수 상 실수로 입주자 모집공고에서 아쉽게 해당되지 않는 부분은 본인책임이라 사전에 청약신청 연습하기를 한 뒤에 진행하시는 것이 좋은데요.
신청 전에는 개인용 공동 인증서 또는 금융인증서 네이버, 토스 KB국민 인증서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신청 연습을 위해 주민등록등본(공고일 이후)과 주택등록초본 (당해 주택건설지역에 거주기간확인용) 청약저축 (순위 및 납입인정 횟수 확인) 가구원별 월평균 소득 확인 서류가 필요합니다.
가구원수별 월평균 소득확인 |
*소득확인대상- 신청자 및 만 19세이상 세대구성원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 (직장. 지역가입여부확인) *소득확인방법 근로소득-전년도 근로소득 원천징수 영수증 또는 소득금액증명 사업소득-전년도 소득금액증명(종소세 신고자용), 사업자등록증사본 |
청약저축 순위 및 납입인정 횟수 확인은 청약홈 홈페이지 메인 메뉴에 청약통장 순위확인서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청약연습 바로가기를 눌러 검색으로 해당되는 청년 매입임대 주택 공고를 눌러 안내에 따라 차례대로 진행해 보시면 되고요. 임대 공고문을 자세히 알고 싶다면 임대 공고문 다운로드하기를 눌러 자세히 살펴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LH 청년매입임대주택 신청방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정보]
인터넷 가족관계증명서 발급 방법
근로소득 원천징수 영수증 발급방법 홈택스
카카오톡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 신청방법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LH 공공분양주택 청약 신청방법 (0) | 2023.10.26 |
---|---|
LH 신혼부부 매입임대 신청방법 총정리 (0) | 2023.10.23 |
건설자금지원확대 연립 다세대 도시형생활주택 등 (0) | 2023.10.20 |
HUG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신청방법 총정리 (0) | 2023.10.17 |
신혼부부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신청방법 (0) | 2023.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