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여러 가지 매매 기법들 중에 가짜 음봉 매매와 5분 봉과 30분 봉 매매, 하한가매매와 5일 투자기법과 포클레인 투자기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투자는 누구의 말을 듣고 하는 것보다 스스로 공부하고 자기에게 맞는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가짜 음봉 매매기법과 5분 봉 30분 봉 매매기법
1. 가짜 음봉 매매 기법은 거래량을 수반하면서 급등한 종목을 볼 때, 최고점에 물릴 거라는 걱정 때문에 공략이 어려운 경우 사용한다.
5일선을 따라 상승하던 차트가 전일 거래량보다 1/3 줄어들었을 때, 음봉이 나왔음에도 5일선 위에 있다면 매수해도 좋다.
2. 5분 봉과 30분 봉을 이용한 매매기법은 30분 봉의 60일 이동평균선과 5분 봉의 5일선을 활용함.
5분 봉의 5일선이 내려가거나 올라가는 부분이 꼭지가 되며, 거래량이 많아진 경우 매수세가 우세라고 판단할 수 있음.
30분 봉에서는 60일 이평선을 돌파하고 올라가는 시점이 키포인트임. 5분 봉에서 짧게 꼭지를 치고 오르면, 30분 봉으로 눈을 돌려 이동평균선과 차트의 이격이 좁혀지는 것을 확인.
거래량이 대량으로 나오면서 차트가 오르면 매수 가격을 치고 올라간 시점부터 끝까지 5분 봉 기준으로 잡는다.
첫 시간에 한 것처럼 장대양봉 가운데 지점이나 그 어디쯤.. 개인의 재량으로 분할 매수. 이는 세력이 끌고 갈 때 같이 따라가는 방법으로 1분 봉으로 찾지 말고 5분 봉이 여유롭게 매수와 매도할 수 있음.
급등 후 하락하는 종목이라면 5분 봉에서 꼭지를 확인할 것. 손절은 무조건 마이너스 몇 프로에 중점을 준다기보다 추세를 보면서 살아있으면 홀딩하고 무너지면 매수하는 방식을 선택하는 게 좋음.
하한가 매매와 5일 패턴, 포클레인 매매 기법
1. 하한가 매매기법은 종목마다 차이는 있으니 절대적인 참고는 아니지만 5~7일 정도 하락폭을 맞으면 반등할 수 있음.
동시호가부터 상한가를 만들어 시작부터 거래량 없이 시가와 함께 상한가를 만들어버리는 것을 쩜상이라 하는데 개미들은 할 수 없는 기술로 세력들이 만들어놓은 가격이라고 볼 수 있음.
쩜상이 아니더라도 거래량을 동반하며 롱 T나 숏 T가 만들어지는데 세력의 이익실현이나 물량 털기로 볼 수 있음. 숏은 밑에서 받치던 꼬리 밑 부분, 롱은 꼬리의 2/3이 세력의 가격대로 볼 수 있음
30분 봉 기준으로 매수세가 나오면서 5일선 위로 차트가 그려지는 역배열이 완성되면 다시 상승세를 탔다고 봐야 함. 그러나 다시 하한가로 갈 수 있어서 차트를 계속 봐야 함.. 세력의 가격선에서 하락하지 않고 유지하며 올라가면 매도할 필요가 없음.
2. 5일 패턴기법은 반드시 5일이라고 볼 순 없으나 세력의 매집 가격에서 하락하지 않고 와리가 리하는 기간을 의미함. 매집가 이하로 내려가지 않으면 상승함. 이런 기간은 종목마다 다르니 차트를 보고 눈에 익히는 게 중요.
3. 포클레인 기법은 5일선을 타고 가던 차트가 급등 직전에 음봉으로 깨고 개미와 단타족을 털고 세력이 물량을 확보하고 올라가는 기법.
일봉에서 5일선을 이탈하는 음봉이 나온다면 30분 봉을 확인하여 거래량이 빠져나갔는지 확인하고 아니라면 매수세로 봐야 함.
[함께 보면 좋은 정보]
갠의 각도론과 엘리어트 파동의 적용
갠의 각도론과 엘리엇 파동이론을 투자에 적용하면 어떤 모습일까요? 45도선인 1대 1 대응선을 중심으로 등락하면서 결국에는 중심으로 수렴하게 되는데, 각각의 소파동이 어느 방향으로 움직일
gamja1469.tistory.com
엘리어트 상승 파동을 적용한 투자공부
엘리엇 파동 이론은 숫자 파동으로 불리는 상승 파동과 문자 파동으로 불리는 하락 파동이 있습니다. 오늘은 상승 파동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엘리어트 상승 파동 엘리엇 파동은 5개의 파동으로
gamja1469.tistory.com
'가상화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이퍼링과 산타랠리 뜻 (0) | 2021.12.22 |
---|---|
풍차돌리기 매매법 외 여러가지 매매기법 (0) | 2021.10.10 |
세력매수가 알아보기와 5일선매매 (0) | 2021.10.08 |
가상자산 사업자 등록과 고객확인제도 시행 (0) | 2021.10.05 |
가상세계가 현실세계로 메타버스 (0) | 2021.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