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상화폐

투자 기본 거래량 이해하기

728x90

오늘은 투자 기본 개념 거래량을 정리할 건데요. 거래량에 대한 의견은 분분하지만, 주가가 선행하거나 동행하기 때문에 관심을 둘 수밖에 없답니다.

 

 

 

거래량과 주가의 상관관계

 

거래량은 무시할 수 없지만 지표로 삼을 수 없는 딜레마에 빠지는데요. 저는 거래량을 지표로 삼을 수 없지만 반드시 고려할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동평균선과 차트만큼이나 기본적으로 표시되는 거래량은 주가가 바닥을 깨고 상승할 때도 증가하고, 고점에 닿을 때 거래량도 고점을 형성합니다.

주가의 고점을 살필 때 거래량의 고점이 나타나지 않고, 주가 하락 시 실제 그 주가는 고점을 형성한 것이 아니라 일시적인 조정에 불과한 것인데요.

 

바닥을 친 거래량이 증가하지 않은 상황에서 주가만 움직이면 전체 동향이 아니라 우연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답니다.

주가가 반전할 때 거래량이 급등한다던가, 주가가 상승할 때 거래량이 줄어들며 고점에서 급증한다던가,

 

본격적으로 상승할 때는 거래량이 줄어들고 고점이 급증한다거나, 주가가 하락할 때 고점의 거래량을 회복하지 못하고 낮아진다는 상황이 발생하는데요.

거래량을 지표 화한 조셉 그랜빌이 만든 OBV는 주가가 오를 때 거래량과 하락할 때 거래량을 따로 계수화한 지표랍니다. 그 외에도 MACD처럼 살피는 VO와 MACD와 OBV의 약점을 개선한 CO가 있답니다.

 

 

 

 
 
 

투자 시 거래량 3가지 유의 사항


1. 주가가 고점에 이르고 추가 상승을 못하는데, 거래량이 폭증하는 경우는 주가가 고점일 가능성이 높다.


2. 상당기간 하락하고 바닥을 다지고 있을 때, 최저 수준에서 변화가 없으면 주가 바닥의 가능성이 있다.


3. 상당시간 횡보하던 주가가 평소의 거래량 몇 배를 넘어서는 급증 현상을 반복해서 나타내면 새로운 추세가 시작되는 조짐일 수 있다.

거래량이 늘어났다고 해서 주식의 손바꿈이 일어나진 않으며, 매집자의 동태와 별개로 산발적인 매매자들이 사고팔기를 반복하여 회전율이 상승할 경우에도 높게 나타나고, 단순히 사고파는 행위에도 큰 영향을 받는데요.

많은 기술적 분석이 존재하지만 계량적 잣대로 판단하고 분석하는 건 불가능하죠. 완벽한 분석이 가능하다면 모두가 부자가 되었을 텐데요. 다양한 요인들이 합쳐져 시장의 가격을 형성하고 심리와 뉴스에 따라 반응하는 부분도 고려할 부분이라...

투자에서 정답은 자기만의 원칙을 고수하는 게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함께 보면 좋은 정보]


 

투자 기초 갠의 각도론

 

투자 기초 갠의 각도론

갠의 각도론은 기술적 분석에서 유명한 이론으로 시장에는 추세가 존재하고 있으며, 투자자는 그 추세를 중심으로 움직인다고 생각한 갠의 이론입니다. 갠의 각도록 기본 개념 갠의 각도론은

gamja1469.tistory.com

보조지표 스토캐스틱 MACD 정리

 

보조지표 스토캐스틱 MACD 정리

곳곳에 눈 소식이 많은 수요일 밤입니다. 오늘은 보조지표로 많이 사용되는 스토캐스틱(Stochastic)과 MACD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보조지표 스토캐스틱 (Stochastic)의 활용 스토캐스틱(Stochastic)은 추론

gamja1469.tistory.com

 

728x90